본문 바로가기
경제적자유를 얻는 과정/stocks

반도체 산업 전망 4Q22 과 주가 예상

by Let go avarice 2022. 10. 8.
반응형

키움증권 리서치 센터에서 분석한 반도체 산업 전망을 읽어보고 공유하면 좋을 것 같아 요약해 봅니다. 반도체 산업 3분기 4분기 전망 23년 1분기 전망까지 다룬 리서치입니다. 전체 pdf도 링크 걸어두겠습니다. 우리나라 반도체 이야기가 주된 내용이지만 soxl 투자에도 도움이 될 겁니다.

반도체-산업-전망-리서치-썸네일

반도체 산업 업데이트

1. DRAM Industry

  • 모바일 DRAM

가격 3분기 -13~-17% → 4분기 -18~20%로 더욱 악화될 전망

재고 2분기 7-8주 물량→3분기 7-8주→4분기 정상화 전망

☆ 지속된 수요 부진과 수요 전망치 하향 조정, 여기에 경기 침체 우려가 더해지며 시장 내 혼란 가중. 4분기 재고 정상화 이후 23년 경기 안정화 시 탄력적인 수요 회복 가능하다고 판단, 재고 조정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하는 1 Q23 이후, 메모리 반도체 출하량 정상궤도 복귀 예상한다고 함

★ 모바일 DRAM 장기 수요 저성장 국면 진입이라고 판단,  모바일 DRAM 탑재량 증가율이 2013~2020년 평균 +30%에서 20년 +18%, 21년 +12%, 22년 +5%이며 23년에도 증가율 둔화 지속될 거라 봄

  • PC DRAM

가격 3 뷴가 -20~-25% → 4분기 -15~20%로 소폭 상승 전망

재고 2분기 10~12주 → 3분기 9~13주 → 23년 1분기부터 정상화 전망

☆ 연초 기대치를 크게 하회하는 PC 판매량으로 인해, 매우 높은 수준의 재고 보유, 계속된 수요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23년 1분기 이후 가격이 역사적 저점 수준에 근접하는 (PC 내 DRAM 원가 비중) DRAM은 추가 가격이 제한될 것으로 판단하고 가격이 덜 떨어짐으로써 반등의 기회가 될 것으로 보임

  • server DRAM

가격 3분기 -12~-14% → 4 분가 -23~-28%로 크게 악화될 전망

재고 2분기 7~8주 → 3분기 10~12주 → 4분기 재고 조정 예정으로 생산량을 줄일 것으로 보임

DRAM은 4분기에도 악화되어 전망이 어둡습니다.

☆ 22년 1분기 이후 큰 폭의 회복세를 보였던 서버 수요는 4 Q22~1Q23까지 감소세 진입으로 전망, 부품 공급 부족 해소에 따른 overbooling 물량 감소, 서버 ODM들의 재고 조정 영향 때문으로 봄, [서버 판매량 4분기 -6%, 내년 1분기 -12%로 전망] 서버 고객들은 높아진 재고를 소진하며, DRAM 가격의 추가 하락을 기다릴 것으로 전망하며 반등시기가 늦어질것으로 봄, 유럽 경기 둔화에 따른 투자 축소 우려가 존재함, 중국의 2019년 이후 투자 최소화, 중국의 회복 여부가 중요

★ DRAM 수급은 3분기~ 내년1분기 급격히 악화 후, 회복세 진입할 것으로 예상 sk하이닉스의 경우 NAND 부문에서 대규모 영업적자를 예상, 삼성, sk, micron 등 23년 DRAM 생산 전망치 : 기존 +13% YoY → +5% YoY로 하향 조정, 수급 개선 후 산업 내 공급이 증가하는 시기를 24년 하반기로 예상함. (정말 어둡다...)

  1. 삼성, SK, MICRON의 재고는 4 Q22 peak-out 예상
  2. 과거 2018~19년 사이클 당시, 고객사 재고 감소 목격된 시점에 주가 반등 보인 뒤 기간 조정 재진입 이후 공급 업체 재고 수준이 감소하기 시작했던 2 Q19부터 반도체 주가의 추세 반등이 시작되었음
  3. 2023~24년 상반기 DRAM 공급이 제한되어 있는 만큼, 러시아 전쟁 및 중국 락다운 이슈 해소 시 DRAM 가격은 예상보다 빠른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도 높다고 판단
  4. 삼성전자의 생산이 급락할 때, DRAM의 업황 개선과 반도체 업종 주가의 급반등을 보였음 → 2004~2005년, 2009년, 2012~2013년, 2016~2017년, 2019~2020년의 DRAM 공급 과잉률이 크게 감소했던 전적
  5. 이 시기의  SK 하이닉스의 주가는 해당 시기 급격한 상승 보였음 → 2004~2005년 +389%, 2009년 +215%, 2016년~2017년 +158%, 2019~2020년 +103%
  6. 따라서 삼성전자의 점유율이 하락하는 시기에 DRAM의 공급 과잉률이 하락하고, 업황 자체는 회복함
  7. 현재 대다수의 시장 참여자들이 인플레이션 등의 매크로 변수와 이에 따른 수요 감소를 걱정 하지만, 업계 1위인 삼성전자의 공급 전략 변화가 과거 DRAM 업황과 반도체 업종 주가의 변곡점을 만들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위 3번 내용처럼 3분기 DRAM 공급이 제한되고 가격이 상승 시작하면 주가는 이미 급등하고 있을 것임
  8. 2023년 공급 축소에 따른 가격 상승 사이클 진입 전망
  9. 4 Q22 재고 감소를 시작으로, 반도체 업종에 대한 투자 센티멘트 개선 나타날 것으로 판단. 즉, 이 리서치에 따르면 4분기가 주가도 저점일 것이라 판단하는 듯

2. NAND Industry

Kioxia 공장 정상화, 삼성전자와 Kioxia의 증설 영향으로 인해, 예상보다 큰 폭의 가격 하락이 나타나고 있음. 23년 1분기부터 반도체 업계 가동률 조정 예상하며 1분기 NAND 가격 하락 후 빠르게 안정화될 전망

4분기에 NAND 업계는 영업적자를 볼 것으로 예상

☆ 리포트에 따르면 업체들의 대규모 적자를 기록한 후 2Q23부터 가격 반등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

3. Demand and Supply

4Q와 내년 1Q 서버 수요 약세로 전환, 스마트폰, 노트북 수요 약세 지속, 서플라이 체인 내 반도체 재고 압박이 가중

공급업체 DRAM, NAND 감산 및 CapEx 감축 진행 중 23년 1Q 이후, 가격도 반등을 준비할 것으로 판단

☆ 칩 4 동맹으로 DRAM 공급 제약 일으킬 가능성 존재, 반도체 대 중국 수출비중 2021년 기준 66%, 반도체 소재 수입 비중, 24%로 10년간 2배로 증가

대 중국 메모리 반도체 수출 판매량 영향은 없을 것으로 판단

4. 파운드리와 그 외

파운드리 : 4Q말 35k/월 증설. 엑시노스 판매량 증가 기대

반도체 소재, 부품 장비 - 23년 1Q 업황 개선 확인 후 좋아질 거라 봄

반도체 업종 투자 전략 및 top pick

  • NAND : 4 Q22 공급업체 영업적자 전환 예상, 감산 진행되어 NAND 가격 하락 방어할 것으로 예상
  • DRAM 업황을 괴롭히는 고객사 재고 조정은 올 하반기 강하게 진행된 후 점차 완화, 이미 NAND 영업적자 예상되는 마이크론과 SK는 DRAM 수익 방어에 총력을 기할 것으로 봄
  • 반도체 업종 투자 센티멘트가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 만큼, 주가 벨류에이션도 역사적 저점 수준 도달, 올 연말~내년 초 업황 개선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반도체 업종 저가 매수에 나설 것을 추천한다고 함
  • 키움증권 리서치에서 찍어주는 TOP PICKS로 대형주: 삼성, SK하이닉스, 소재. 부품주: 솔브레인, 티씨케이, 원익머트리얼즈, 리노공업, 장비주:원익 IPS, 파크시스템스, 엘오티베큠

마치며,

위의 글은 키움증권 리서치를 참고 및 요약하였으며 애널리스트라고 무조건 다 맞출 수는 없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본인 스스로에게 있음을 인지하시고, 언제든 매크로에 따른 산업 업황은 변할 수 있고, 기업 자체에 문제도 발생되어 주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점을 명심하시고 투자에 임하시길 바랍니다. 

SOXX의 3배 레버리지인 SOXL주가는 고점 대비 -90%로 향해 가고 있습니다. 전고점이 올지 안 올진 알 수 없고, 위의 리포트에는 미국 반도체 업계의 삼성, SK하이닉스인 MICRON만 다루고 있고, 엔비디아, AMD, INTEL, ASML 등의 업황은 나와 있지 않으므로 모든 반도체의 업황이 아니라는 점은 인지하시고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대부분 미국 주식에 투자 중이고 soxl 비중이 가장 큽니다. 최근 9월의 폭락 이후 -에 허덕이고 있는 와중에 제가 보는 전망과 비슷한 전문 애널리스트의 산업분석을 읽고 좀 더 확신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결국 반도체는 4차 산업의 쌀인 만큼 둔화는 될지라도 후퇴는 할 수 없는 산업인 만큼 24년이면 큰 호황기가 올 것이라 믿으며 계속 투자를 진행할 생각입니다. 여러분들도 soxl주가, 삼성, sk의 주가만을 보지 마시고, 업황의 흐름을 같이 보고 지금부터 몰빵 매수가 아닌 모아 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리포트에도 나와 있듯이 23년 1분기까지는 업황의 하락은 예상되고 있으며, 사실 2분기 까지도 하락할 수 있습니다. 무조건 적으로 믿지는 마시되, 지금부터 분할 매수한다면 낮은 평단가로 1년 후부터는 주식창을 열 때마다 기분이 좋으실 거라 믿습니다. 투자는 본인의 책임입니다. 어려운 시기 대출해서 반대매매당하지는 마시고 욕심을 조금 내려놓고 투자하여 목표를 이루시길 바랍니다.

Let go avarice, Realize a goal!

끝으로, 위 내용의 리서치 원본을 첨부하오니 필요하신 분은 다운로드 하셔서 꼼꼼히 읽어 보시길 추천합니다. 많은 그래프와 그림으로 이해에 좀 더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AnalCIDetailView?sqno=4291

반응형

댓글